본문 바로가기
평온

험담에도 흔들리지 않는 사람 – 에픽테토스의 유쾌한 단호함

by pumoo 2025. 6. 15.
반응형

험담에도 흔들리지 않는 사람 – 에픽테토스의 유쾌한 단호함

“당신을 험담하는 사람이 있다고 알려주는 친구가 있다면
변명하지 말고 이렇게만 말하라.

‘내가 저지른 잘못들 가운데 그 이야기만 했다니
나를 잘 모르는 모양이군.’”
– 에픽테토스


 

🧭 험담은 사람을 흔든다, 하지만…

누군가 내 험담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
우리는 본능적으로 해명하고 싶고, 억울해하고 싶어집니다.

“그건 사실이 아니야.”
“오해가 있었어.”
“내가 그렇게까지 나쁜 사람은 아니야.”

하지만 에픽테토스는 완전히 다른 태도를 제안합니다.

“그 이야기가 전부라면, 그 사람은 나를 잘 모르는 거다.”

“나는 훨씬 더 많은 허물을 가진 사람이다.”

이 말은 겸손이나 체념이 아닙니다.
자기 자신을 스스로 알고 있기 때문에
외부의 평가에 휘둘릴 이유가 없다는 선언
입니다.


 

💬 철학 명언의 현대적 해석 – 자기인식과 내면의 자율성

에픽테토스는 ‘완벽해지라’고 말하지 않습니다.
그는 우리가 자신의 불완전함을 인정하되,
그 불완전함 때문에 흔들리지 않기를 바랍니다.

  • 험담은 내가 누구인지 결정하지 못합니다.
  • 비난은 나의 실존을 훼손하지 못합니다.
  • 나는 나를 알고 있고, 그래서 방어할 필요조차 없습니다.

이 철학적 자세는 강력한 유연성입니다.
스스로를 웃을 수 있는 사람만이
타인의 말에 무너지지 않습니다.


 

🌿 오늘의 실천 질문

  • 나는 최근 누군가의 말 때문에 억울하거나 흔들렸던 적이 있었나요?
  • 그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떠나, 내가 스스로를 알고 있는가?
  • 오늘, 나의 허물을 유머로 받아들이는 연습을 해볼 수 있을까?

 

🔚 마무리하며 – 웃을 수 있는 사람만이 단단하다

스토아 철학은 늘 우리에게 묻습니다.
“지금 당신의 반응은 당신이 선택한 것인가?”

누군가의 험담을 들었을 때,
변명하거나 반격하는 대신
이렇게 웃으며 말할 수 있다면,
당신은 이미 진짜 자유인입니다.

“그 이야기밖에 안 했다고?
그럼 그 사람은 나를 제대로 모르는 거야.
나는 훨씬 더 많이 틀린 사람이니까.”

그러나 그 모든 나를 나는 알고 있고, 받아들이며, 살아가고 있다.

 

반응형